워드프레스 강좌 / 플러그인 / WP Super Cache / 캐시를 이용하여 사이트 속도 빠르게 해주는 플러그인
워드프레스
2020-04-14
WP Super Cache
웹사이트 속도는 중요합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속도가 느리다면 방문자가 금방 떠나고, 검색 엔진에서도 불이익을 받습니다. 따라서 속도 개선은 사이트 관리자의 중요 업무 중의 하나입니다.
워드프레스는 기본적으로 페이지를 동적으로 만듭니다. 요청이 있으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를 가져와서 테마의 파일들을 이용해 출력을 하기에, 방문자가 접속할 때마다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그래서 정적인 페이지보다 속도가 느립니다.
이를 해결해주는 것이 캐시 플러그인입니다. 동적인 페이지를 정적인 페이지로 변환하여 저장해두고, 요청이 있으면 그 저장된 페이지를 출력해줍니다. 워드프레스에는 상당히 많은 캐시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그 중 Automatic이 만든 WP Super Cach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WP Super Cache는 WordPress.ORG에서 공유되고 있으므로, 워드프레스 관리자에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기본 설정
- WP Super Cache를 설치하고 활성화하면 [설정]에 [WP Super Cache] 메뉴가 생깁니다. 그 링크를 클릭하여 필요한 설정을 합니다.
- 기본적으로 캐시 기능은 꺼져 있으므로, 제일 먼저 할 것은 켜는 것입니다.
- [Easy] 탭에서 [Caching On]을 선택한 후 [Update Status]를 클릭하면 캐시를 시작합니다.
- [Advanced] 탭에서 상세한 설정을 할 수 있고...
- [Contents] 탭에서 캐시된 페이지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작동 방식
- 로그인 하지 않은 방문자가 있으면 그 페이지에 대한 캐시 파일이 만들어집니다.([Advanced - Cache Restrictions]에서 로그인 사용자도 캐시된 파일을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그 페이지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캐시된 파일을 출력합니다.
- 1800초(30분)이 지나면 캐시된 파일이 만료(Expire)됩니다. 만료된 페이지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다시 캐시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캐시가 생성된 후 30분 동안 접속하는 사람은 빠른 속도로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단, 캐시된 파일을 보는 것이므로 그 사이에 발생한 사이트 변경 사항이 반영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사이드바에 최근 글 위젯이 있다고 할 때, 새 글이 등록되면 그 글도 최근 글 위젯에 나타나야 하지만 캐시된 파일에는 나오지 않습니다.
TIP
- 캐시를 수동으로 삭제하고 싶다면 [Easy] 탭에 있는, 또는 [Contents] 탭에 있는 [Delete Cache] 버튼을 클릭합니다.
- 포스트나 페이지에 변화가 있을 때 캐시가 새로 생성되길 원하다면 [Advanced] 탭에서 [Clear all cache files when a post or page is published or updated.]에 체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