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웹 서비스의 라이트세일은 저렴한 가상 서버입니다. 하지만 소규모 홈페이지를 만들고 운영하는 데는 충분한 자원을 제공합니다. AWS에서는 가상 서버를 인스턴스라고 부르는데, 라이트세일 인스턴스를 어떻게 만드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라이트세일 페이지로 이동 콘솔에 접속한 다음 라이트세일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솔루션 구축에 있는 메뉴를 이용해도 되고... 서비스의 하위 메뉴에서 이동해도 됩니다. 직접 접속할 수 […]
아마존 웹 서비스(AWS)에 가입하는 방법입니다. 별로 어려운 것은 없지만, 유료 서비스에 외국 사이트 프로세스라서 좀 어색한 점이 있습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 AWS / 라이트세일(Lightsail) 인스턴스 생성하는 방법 아마존 웹 서비스 AWS / 라이트세일(Lightsail) / 우분투 서버에 PuTTY로 SSH 접속하는 방법 준비물 외화 결제 가능한 신용카드가 필요합니다.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가 필요합니다. […]
워드프레스에서 글 작성할 때 코드를 붙여넣으면, 들여쓰기가 제대로 표현되지 않거나 코드를 실행해버리는 등 원하는 모양으로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 그대로 붙여넣지 말고 코드 블록으로 붙여넣습니다. + 아이콘을 클릭하고 [포맷]의 [코드]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특성 이미지 워드프레스의 글이나 페이지에는 특성 이미지를 설정하는 옵션이 있습니다. 특성 이미지는 해당 글을 대표하는 이미지로, 글의 내용을 잘 반영하는 이미지로 설정합니다. 특성 이미지는 본문에 삽입되는 것은 아니지만, 테마나 플러그인에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활용하니, 가능하다면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성 이미지 설정하기 글이나 페이지를 작성하는 화면에 특성 이미지를 설정하는 옵션이 있습니다. […]
워드프레스의 위젯 기능을 이용하면, 테마가 제공하는 영역에 메뉴, 최근 글, 배너, 광고 등을 쉽게 추가하고 삭제할 수 있습니다. 위젯을 관리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첫번째는 [테마 디자인 - 위젯]에서 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테마 디자인 - 사용자 정의하기]에서 하는 것입니다. [테마 디자인 - 위젯]에서 관리하기 위젯 추가하기 사용할 수 있는 위젯에서 원하는 위젯을 […]
워드프레스의 메뉴는 링크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계층형으로 만들거나 메뉴 그룹을 만들 때 링크가 없는 메뉴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기본 기능으로는 그러한 메뉴를 만들 수 없지만, 약간의 편법을 사용하면 가능합니다. 사용자정의 링크를 만듭니다. URL에는 아무거나 입력해도 상관없습니다. 뭘 쓸지 고민된다면 #을 입력하면 됩니다. URL이 비어 있으면 메뉴가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꼭 입력해야 합니다. […]
워드프레스는 페이지, 글, 카테고리, 태그, 사용자 정의 링크 등으로 메뉴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메뉴는 테마가 제공하는 위치에 배치를 합니다. 하나의 메뉴를 여러 곳에 배치할 수도 있고, 위젯에 추가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메뉴 생성과 관리는 [테마 디자인 - 메뉴]에서 합니다. 화면 옵션 메뉴에 추가할 수 있는 아이템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워드프레스는 테마 선택이 중요합니다. 목적에 맞는 테마를 잘 선택하면 적은 노력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테마를 어떻게 설치하고 활성화하는지, 그리고 필요 없는 테마를 어떻게 삭제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테마 활성화하기 [테마 디자인]의 [테마]로 이동하면, 설치된 테마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테마에 마우스를 올리면 테마 세부사항, 실시간 미리보기, 활성화 버튼이 […]
오랜만에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 접속했습니다. 이상이 없나 살펴보던 중 제출한 RSS 주소에 문제가 있다고 나오더군요. 그래서 기존 RSS 주소를 삭제하고 다시 등록을 했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났습니다. RSS 본문 크기를 줄여주세요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를 수년 째 사용하고 있지만 처음 보는 에러입니다. 해결 방법은 뻔합니다. RSS에 출력되는 본문 크기를 줄여야 하죠. 워드프레스라면 [설정 […]
긴 글을 읽을 때 차례(목차)가 있으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위키백과는 문서 상단에 목차가 있습니다. 목차가 있으면 문서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파악하기 쉽고 링크가 걸려 있어 원하는 내용으로 이동하기 편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Plus 목차를 영어로 Table of Contents, 줄여서 TOC라고 합니다. TOC로 검색하면 꽤 많은 플러그인이 나오는데, 가장 사용자가 많은 플러그인이 […]
아마존 웹 서비스 라이트세일에서 우분투 서버를 만들면, SSH 접속은 KEY를 이용해서 합니다. 보안 상 좋은 방법이라 그렇게 하겠지만, root 계정에 익숙하거나 KEY 사용이 불편하다면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root 계정으로 KEY 없이 SSH 접속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방법입니다. root 계정 비밀번호 설정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만듭니다. sudo passwd root SSH […]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때 관리자 계정을 만들고 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워드프레스가 자동 업데이트 되거나, 댓글이 달리는 등 주요 사건이 발생하면 그 메일로 알림을 보냅니다. 따라서 수신 가능한 메일 주소로 설정하고, 변경이 필요하면 바로바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워드프레스 이메일 주소 변경하기 [설정 - 일반]으로 이동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변경 사항 저장]을 클릭합니다. […]
Contact Form 7 Contact Form 7은 폼메일 플러그인입니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폼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스팸 방지 도구인 reCAPTCHA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타일을 구하기 쉽고, 많은 테마에서 Contact Form 7을 지원합니다. 설치 [플러그인 - 플러그인 추가하기]에서 Contact Form 7로 검색하여 설치하고 활성화합니다. 폼메일 페이지 만들기 Contact Form 7을 […]
한글 글꼴 워드프레스 테마는 주로 영어권에서 개발합니다. 영어권이 아닌 곳에서 개발을 해도 영어 사용을 기준으로 개발합니다. 그래서 데모 사이트도 대부분 영어로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영어로 되어 있을 때는 아주 보기 좋은데, 한글로 바뀌면 이상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멋진 디자인과 타이포그래피에 반해서 테마를 구입했는데, 한글을 사용하는 순간 기대했던 결과가 나오지 […]
플러그인 추가하는 방법 XE Store에 있는 플러그인을 추가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관리자 페이지에서 설치하기 FTP로 업로드하여 설치하기 첫 번째 방법이 편하지만 설정이 번거롭고, 두 번째 방법을 지원하지 않는 플러그인도 있습니다. XE Store에 있는 플러그인을 사용할 것이라면, 번거롭더라도 첫 번째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리자 페이지에서 설치하기 폴더 만들기 […]
게시판 만들기 XE3 관리자에서 [사이트맵 - 사이트 메뉴 편집]으로 갑니다. [아이템 추가]를 클릭합니다. Board를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URL과 메뉴 이름을 정합니다. 나머지는 적절히 설정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게시판이 생성되고 메뉴도 만들어집니다. 메뉴를 클릭하면... 생성한 게시판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게시판 설정을 변경하고 싶다면 오른쪽 위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여기에서 상세한 설정을 할 […]
서버 요구사항 XE3를 설치하기 위한 서버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웹서버(apache, nginx 등) PHP 7 이상 PDO PHP Extension cURL PHP Extension FileInfo PHP Extension GD PHP Extension Mbstring PHP Extension OpenSSL PHP Extension Zip PHP Extension MariaDB or MySQL 5.1 이상 터미널 접속 환경 스크 300M 이상의 여유 공간(500M 이상 […]
카테고리 워드프레스의 글(포스트)은 카테고리로 분류합니다. 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에 속하게 됩니다. 글 작성시 카테고리를 선택하지 않으면 기본 카테고리가 선택됩니다. 카테고리 관리는 [글 - 카테고리]에서 합니다. 글 작성 화면에서도 카테고리 관리를 할 수 있지만, 상세한 설정을 할 수는 없습니다. 카테고리 만들기 [글 - 카테고리]로 이동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이름 […]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의 메뉴는 왼쪽에 있습니다. 플러그인이나 테마를 설치하면 메뉴는 더 늘어납니다. 왼쪽의 메뉴를 클릭하면 오른쪽에 관련 내용이 나옵니다. 그런데 보여줄 수 있는 모든 내용이 다 나오지는 않습니다. 화면 크기가 한정되어 있다보니 자주 사용되거나 중요한 내용만 나오기도 합니다. 숨겨진 내용은 오른쪽 위의 [화면 옵션]에서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반대로 화면에 있는 […]
자식 테마의 뜻 어떤 테마의 디자인과 기능을 그대로 상속 받는 테마를 자식 테마(Child Theme)라 합니다. 이때 상속해주는 테마를 부모 테마(Parent Theme)라 합니다. 자식 테마 만드는 방법 워드프레스의 기본 테마 중 하나인 Twenty Seventeen의 자식 테마를 만들어보겠습니다. 방법 1 wp-content/themes 폴더에 twentyseventeen-child 폴더를 만듭니다. (폴더 이름은 다른 것으로 해도 상관없습니다.) twentyseventeen-child […]